‘멜로가 체질’은 서른 살 여자 셋의 일상과 연애, 그리고 일을 중심으로 펼쳐지는 청춘 공감 드라마다. 2019년 JTBC에서 방영된 이 작품은 이병헌 감독의 드라마 데뷔작으로, 특유의 위트 있는 대사와 리듬감 있는 연출, 현실적이면서도 섬세한 감정선으로 큰 호평을 받았다. 방송 당시 시청률은 다소 아쉬웠지만, 종영 이후 입소문을 타며 ‘인생작’, ‘인생캐릭터’를 꼽는 팬들이 늘어나 ‘웰메이드 저평가 드라마’라는 수식어가 붙었다. 멜로와 코미디, 우정과 자립이라는 주제를 담백하면서도 유쾌하게 풀어낸 수작이다.
📝 줄거리 요약 – 인생도, 사랑도, 일도 다 멜로
드라마는 서른 살 동갑내기 친구 세 명이 한 집에 함께 살며 벌어지는 이야기를 중심으로 전개된다. 드라마 작가 ‘임진주’(천우희), 다큐멘터리 PD ‘이은정’(전여빈), 마케팅 회사 직원이자 싱글맘 ‘황한주’(한지은). 각자의 사연과 상처를 지닌 이들이 서로를 위로하고 보듬으며, 일과 연애, 육아, 정신건강 등 현실적인 문제들을 풀어나간다.
임진주는 전 남자친구의 죽음 이후 불면증과 글쓰기 강박에 시달리지만, 괴짜 드라마 PD ‘손범수’(안재홍)와의 만남을 통해 점차 자신의 목소리를 되찾는다. 이은정은 연인의 자살 이후 환영과 대화하며 트라우마에 갇혀 있고, 황한주는 회사와 육아 사이에서 고군분투하며 타협과 희망을 동시에 붙잡는다.
드라마는 각자의 ‘멜로’가 결코 로맨스에만 국한되지 않음을 보여준다. 삶 전체가 멜로이고, 사람과의 관계, 일터에서의 갈등, 내면의 치유까지 모두가 감정의 드라마로 연결된다. 사건 중심이 아닌 ‘대사 중심’, 감정 중심의 구성이지만 지루하지 않고, 오히려 사소한 순간에서 오는 공감과 위로가 크다.
👩👩👧 인물 분석 – 우리가 사랑한 서른 살 여자들
임진주(천우희)는 드라마 작가로, 말 많고 괴짜 같지만 누구보다 예민하고 깊은 감수성을 지닌 인물이다. 과거 연인의 죽음 이후 마음을 닫고 살아가던 그녀는 손범수와의 협업을 통해 다시 글을 쓰고, 사랑을 나누며 서서히 삶을 회복한다. 천우희는 특유의 개성 있는 연기로 진주의 독특한 말투와 감정을 설득력 있게 표현했다.
이은정(전여빈)은 다큐 PD로, 연인의 자살을 영상으로 남긴 뒤 그 환영과 함께 살아가는 인물이다. 감정을 겉으로 드러내지 않지만 내면은 가장 혼란스럽고 아프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자신의 방식으로 슬픔을 직면하며 치유의 가능성을 찾아간다. 전여빈은 차분하면서도 강한 눈빛으로 이은정의 감정을 표현하며 극의 무게 중심을 잡는다.
황한주(한지은)는 직장맘으로, 이혼 후 아이를 홀로 키우며 회사 생활을 병행한다. 냉정하면서도 현실적인 시선, 그리고 모성애 사이에서 갈등하지만, 누구보다 성실하고 강한 인물이다. 한지은은 자연스럽고 담백한 연기로 많은 시청자들의 공감을 끌어냈다.
또한 손범수(안재홍)는 극 중 드라마 PD로, 진주와 티격태격하면서도 서로를 존중하고 성장시키는 관계를 보여준다. 전형적인 남주 캐릭터에서 벗어난 범수의 모습은 기존 멜로 공식을 깨고, ‘진짜 괜찮은 어른’의 모습을 제시한다.
👥 시청자 반응 – “대사가 인생 문장, 모든 장면이 공감”
‘멜로가 체질’은 방영 당시 시청률 면에서는 아쉬움을 남겼지만, 콘텐츠의 완성도와 진정성 면에서는 극찬을 받았다. 무엇보다 시청자들은 드라마 곳곳에 숨어 있는 대사 한 줄, 표정 하나, 침묵의 시간에 깊이 공감했다.
💬 “이 드라마는 ‘멜로’가 아니라 ‘생활기록부’에 가깝다.”
💬 “전여빈 연기 보면서 울었다가 웃었다가. 이건 사람 이야기다.”
💬 “안재홍이 이렇게 멋있게 보일 줄은 몰랐다. 현실 연애감 100%.”
대부분의 반응은 “내 얘기 같았다”, “진짜 현실을 잘 담았다”는 말로 요약된다. 인위적인 갈등이나 극적인 전개보다, 조용하고 섬세하게 감정을 짚어가는 방식이 오히려 더 깊은 울림을 준다는 평가다.
특히 직장인 여성, 워킹맘, 정신건강 문제를 다룬 부분에서 ‘이해받는 기분’이었다는 시청자들의 리뷰가 많았으며, OST와 미장센도 극의 분위기를 자연스럽게 받쳐주며 감정선을 배가시켰다.
‘멜로가 체질’은 말장난처럼 들릴 수 있는 제목이지만, 사실은 우리가 살아가는 모든 순간이 멜로이고, 체질처럼 피할 수 없다는 것을 유쾌하게 풀어낸 작품이다. 그 안에서 웃고, 울고, 공감하며 우리는 세 사람을 통해 우리 자신을 돌아보게 된다.
모든 장면이 위로였던 드라마, 모든 대사가 내 이야기 같았던 드라마. ‘멜로가 체질’은 그래서 아직도 체질처럼 남아 있다.